목록Language (12)
pat coding
write_xlsx 루비온레일즈에는 excel 읽고 쓰기, 내보내기가 가능한 gem 들이 있다. 그 중 내보내기 gem 인 write_xlsx 를 알아보자. book = WriteXLSX.new(파일 경로) : 파일 생성 sheet = book.add_worksheet : 워크 시트 생성 book.add_format : 옵션(텍스트 및 색 등) sheet.write_string(행, 열, 내용, 옵션) : 셀 추가 sheet.freeze_panes(고정할 셀) : 헤더로 고정 sheet.set_column : 열 설정 sheet.set_row : 행 설정 WriteXLSX.new 를 통해 파일 경로를 설정해주면 원하는 곳에 파일이 생성된다. file_path = "/home/ubuntu/download/..
Active Record 란? 레일즈 아키텍쳐의 모듈 이름이며,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의 패턴 중의 하나이다.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, 객체를 연결(ORM)하여 객체의 property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읽고 쓸 수 있다. 도메인 로직이 복잡하지 않은 CRUD같은 경우에 사용하며,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하지만 복잡하고 거대한 스케일의 어플리케이션은 구현이 복잡하므로 엑티브 레코드와 맞지 않는다.
1. sub 텍스트의 일부를 치환할 수 있습니다. ruby = "I like Ruby and RubyOnRails" ruby.sub('Ruby','Java') 또는 ruby.sub(/Ruby/,'Java') #결과 출력 puts ruby => "I like Java and RubyOnRails" 2. gsub 텍스트에서 매칭되는 모두를 치환할 수 있습니다. ruby = "I like Ruby and RubyOnRails" ruby.gsub('Ruby','Java') 또는 ruby.gsub(/Ruby/,'Java') #결과 출력 puts ruby => "I like Java and JavaOnRails" 3. 정규식을 통한 활용 ruby = "I like Ruby and RubyOnRails" ruby..
루비에서 값을 확인하는 메소드들 1. nil? 자바에서의 null 과 의미가 같다. 해당 객체가 nil인지를 판별하여 알려준다. nilclass의 오브젝트인 nil만이 nil? 에 true 로 응답하며 그 외는 false를 반환한다. 2. empty?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메소드이다. 해시나 배열이 비어있는지 확인할 때 유용하다. 존재하지 않을 경우 true를 반환한다. 3. blank? 객체가 false/empty/공백문자열("", " ", [], {})인 경우 true를 반환한다. 4. present? 객체가 false/empty/공백문자열("", " ", [], {})인 경우 false를 반환한다.
배열이란? 여러가지 데이터를 담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타입이다. fruit = ['apple', 'orange', 'mango', 'plum', 'berry'] puts fruit[0] #인덱스 0 puts fruit[1] #인덱스 1 puts fruit[2] #인덱스 2 puts fruit[3] #인덱스 3 puts fruit[4] #인덱스 4 #출력 결과 apple orange mango plum berry fruit라는 배열에 문자열 데이터를 담아서 사용한다. 안에 담긴 각각의 데이터들은 원소라고 부르며, 원소들을 하나씩 가져올 때는 배열명[숫자]의 형태로 가져온다. 이때 숫자는 인덱스라고 부르며 각각의 원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. puts fruit(배열변수이름)를 입력하면 모든 데이터를 출..
Rails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디버깅 방법! 1. Rails.logger.debug 확인할객체 .inspect console로 원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 2. abort 확인할객체 . inspect - 브라우저로 디버깅하는 방법이다. - 원하는 부분에서 멈추고 필요한 텍스트를 표시한다. - 콘솔창에서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 3. byebug - Gemfile 'byebug' 를 이용해서 디버깅하는 방법이다. - byebug를 넣고 실행하면 롤백된다. - 콘솔에서 확인할 내용에 .errors 를 입력하면 에러내용이 나온다. - c 를 입력하면 디버깅모드에서 나오게 된다.